고객지원
- 제목
- [메디칼업저버] \'아바타 모델\'로 전신경화증 新치료전략 제시(2023.02.02)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자
- 2023-02-03 13:18:01
- 조회수
- 5,482
서울성모병원 박성환 교수팀, 환자 혈액으로 난치성 자가면역질환 동물모델 구축
환자별 면역상태 반영한 아바타에 피부·폐 섬유화 재현…약물 치료 효과 확인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국내 연구팀이 환자의 면역상태를 반영하는 전신경화증 아바타 모델을 이용한 새로운 치료전략을 제시했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 박성환(공동 교신저자)·박영재(공동 제1저자) 교수팀은 난치성 자가면역질환인 전신경화증 환자의 혈액 면역세포를 쥐에 주입해 환자의 면역상태를 반영하는 전신경화증 아바타 모델을 구축했다.
이을 통해 정상인 혈액을 주입한 동물 대비 전신경화증 환자의 혈액을 주입한 동물은 전신경화증이 나타나고 심화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가톨릭의대 류마티스 연구센터 조미라 교수(공동 교신저자)·박민정 박사(공동 제1저자)의 공동 연구 결과다.
구체적으로 면역력이 결핍된 동물에 전신경화증 환자와 정상인의 혈액을 주입한 결과, 동물의 피부와 폐 조직에서 주요 면역세포인 사람의 T세포와 B세포를 확인했다.
특히 전신경화증 환자에게서 증가하는 지표인 자가항체(anti-ETAR; endothelin-1 type A receptor)가 정상인 동물 대비 전신경화증 모델 동물에서 증가, 환자의 면역체계가 동물모델에 반영됨을 확인했다.
이어 면역력이 결핍된 동물에 전신경화증 환자 혈액 면역세포를 이식한 결과, 자가면역질환 환자 세포(면역림프구)가 동물 조직에 자리 잡고 생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동물 피부와 폐 조직이 딱딱해지는 섬유화를 직접 확인, 자가면역질환 환자의 섬유화를 예측할 수 있는 동물모델임을 입증했다.
정상인 혈액 투여 동물과 환자 혈액 투여 동물은 전신경화증 지표인 피부와 폐에서의 섬유화 정도에도 차이가 있었다. 환자 혈액 이식 모델의 피부와 폐의 섬유화 지표(α-SMA, VEGF, CTGF, caspase-3, endothelin-1)가 정상인 대비 모두 증가했다.
또 자가면역질환에서 섬유화를 일으키는 중요한 인자인 TH17 세포와 IL-17 사이토카인이 환자 혈액을 주입한 동물의 피부와 폐 조직에서 정상인 혈액 동물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동물 모델에 섬유화를 유도하는 사이토카인 억제 약물이나 섬유화가 진행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신호 조절 약물을 투여한 결과, 면역세포 섬유화 진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전신경화증 약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적절한 동물모델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조미라 교수는 "환자의 면역체계가 이식된 마우스에 TH17 세포 조절 또는 섬유화 신호 분자를 조절하는 후보약물을 처리하거나 이들을 직접 억제하는 항체의약품을 처리했을 때 약물의 치료효력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었다"며 "인간 항체를 대상으로 전임상 동물모델에서 평가가 정확히 이뤄지지 못하는 문제점도 해결한 환자 전임상 모델을 구축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성환 교수는 "일반적인 동물모델에서 약물 효과를 확인하는 것과 달리 이번 연구는 전신경화증 환자의 혈액이 이식된 쥐에 환자의 면역체계가 반영됐고, 치료 약물 효과를 확인했다는 의미가 있다"면서 "환자 개개인의 면역체계 반영을 통해 약물 감수성을 확인할 수 있는 모델이기에 중요하다. 향후 환자에 직접 약물 투여하기 전 아바타 모델로 치료 반응을 예측하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 지난해 9월호에 실렸다.
출처: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9466
- 다음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